메뉴 바로가기 검색 및 카테고리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IT/모바일

AI가 직접 작업하는 시대, MCP 활용법 총정리 (feat. Claude)

한빛미디어

|

2025-04-04

|

by 강민혁

408

An abstract illustration of critical context connecting to a central hub
출처: ‘Introducing the Model Context Protocol’, Anthropic

 

요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MCP라는 단어, 자주 보이지 않았나요? 

클로드(Claude)와 커서(Cursor) 같은 AI 서비스에서 서비스 외부의 파일이나 툴을 직접 다룰 방법을 찾는다면 정답은 바로 MCP입니다. 

 

AI의 초점이 ‘질문에 답하는 모델’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AI 에이전트’로 빠르게 바뀌어 가는 지금, MCP는 그 전환을 이끌 핵심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MCP가 무엇인지 간단히 살펴보고, 클로드로 뉴스를 스크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며 MCP를 체험해보겠습니다.

 

 

MCP란 무엇일까?

 

앤트로픽은 2024년 11월, AI 모델과 외부 툴을 연결하는 범용 표준인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을 발표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MCP는 AI와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잇는 통로입니다. 마치 USB 케이블로 컴퓨터와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듯, MCP는 AI와 데이터베이스, 외부 서비스 같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똑같은 방식으로 연결합니다. 같은 단자에 이어폰, 충전기, 데이터 케이블 등 다양한 장치가 연결되는 USB-C처럼 MCP는 ‘AI를 위한 USB-C’인 셈입니다.

 

사실 이런 시도가 처음은 아닙니다. 챗GPT 초창기 플러그인 명세도 JSON을 통한 서비스 연동을 내세웠고, 이후 GPTs의 ‘작업’ 기능으로 통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챗GPT 안에서만 쓸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MCP는 다릅니다. 표준 규격이기 때문에 한 번 잘 구현해 두면, MCP를 지원하는 어떤 클라이언트에서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개발자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서비스에 MCP 서버를 구현하고 있습니다(링크). 활용 범위도 다양합니다. 브라우저 자동화, 파일 시스템 접근, 코드 저장소 연동, 3D 툴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클로드가 만든 블렌더 애니메이션

 

MCP의 성장과 확산

 

그런데 11월에 나온 MCP가 왜 이제서야 핫해졌을까요? 초기에는 개념 수준이었던 MCP가, 단 몇 개월 만에 급성장한 생태계로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앤트로픽은 MCP를 출시한 후, 많은 개발자들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쉽게 MCP를 구성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였던 FastMCP도 공식적으로 지원하며 확산에 힘썼고, 다양한 컨퍼런스와 워크샵을 통해 홍보했죠(워크샵 영상). 그렇지 않아도 표준화된 연결 방식을 갈망했던 개발자들에게 MCP는 적절한 무기였습니다.

 

MCP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는 현재 28개. 모든 리스트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CP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Cursor AI, VS 코드(인사이더 버전) 등에서 MCP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오픈AI의 에이전트 SDK도 MCP를 공식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링크). MCP가 AI 생태계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자리잡아가는 흐름입니다.

 

 

클로드에 MCP 사용 설정

 

간단한 예시를 통해 MCP 사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웹사이트를 스크랩해 뉴스레터 형태로 저장하겠습니다. 사용하는 툴은 세 가지입니다.

 

  • 클로드 클라이언트
  • MCP 서버 - 파일시스템
  • MCP 서버 - Playwright

 

MCP 서버 실행을 위한 Node.js를 설치(링크)하고, 컴퓨터 내부의 서버와 통신할 클로드 클라이언트를 설치합니다(링크). 

설치를 마쳤다면 클로드와 MCP 서버를 연결하겠습니다. 

 

1.클로드 앱에서 설정을 엽니다.

2. [개발자] - [설정 편집]을 클릭합니다. 이때 탐색기가 열립니다. 

 

3. 탐색기에서 claude_desktop_config.json 파일을 찾아 메모장이나 코드 편집기로 열고 MCP 서버를 설정할 JSON을 작성한 뒤 저장합니다. 저는 평소 뉴스를 스크랩하는 폴더인 Scraps를 지정하겠습니다.

 

{
    "mcpServers": {
        "playwright": {
            "command": "npx",
            "args": [
                "@playwright/mcp@latest",
                "--headless"
            ]
        },
        "filesystem": {
            "command": "npx",
            "args": [
                "-y",
                "@modelcontextprotocol/server-filesystem",
                "D:메모를저장할폴더경로",
            ]
        }
    }
}

 

4. 저장한 후 클로드 앱을 종료한 뒤 다시 실행하면, MCP가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준비가 끝났으니 본격적으로 IT 뉴스가 올라오는 해커뉴스를 스크랩하겠습니다. 

 

 

MCP를 통한 뉴스 스크랩

 

클로드에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여러분의 필요에 맞게 프롬프트를 수정하셔도 좋습니다.

 

 

https://news.ycombinator.com/front의 기사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뉴스 5개와 조회수가 높은 뉴스 5개를 선정해 뉴스레터 형태로 정리해주세요. 각 요약에는 원본 글에 대한 링크를 적어주세요.

 

정리된 텍스트는 Scraps 폴더에 저장해주세요. 파일 구성은 기존 파일을 참고해주세요. 

 

 

프롬프트를 실행하면 클로드는 MCP의 도구 사용을 허용할지 묻습니다. 도구 사용은 새로운 대화마다 허용 여부를 새로 확인합니다. 이는 경고문에 나와있듯 MCP 서버가 악의적이거나 유해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서버인 만큼, 어떤 부작용이 있을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항상 믿을만한 MCP 서버를 이용하고, 작업을 허용하기 전에 원하는 작업이 맞는지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클로드의 답변을 한 번 살펴볼까요?

 

먼저 Hacker News 사이트를 방문하여 현재 인기 기사들을 확인한 후, 중요 뉴스와 조회수 높은 뉴스를 선별해 뉴스레터로 작성하겠습니다.

이제 현재 Hacker News 프론트 페이지에서 중요 뉴스와 조회수 높은 뉴스를 선별하겠습니다. 먼저 뉴스 목록을 살펴보고 상세 내용을 확인하겠습니다.

기사 내용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해 몇 가지 중요 기사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제 Hacker News의 주요 뉴스 및 조회수 높은 뉴스를 선별하여 뉴스레터 형태로 정리하겠습니다.

뉴스레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acker News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뉴스 5개와 조회수가 높은 뉴스 5개를 선별하여 뉴스레터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중요 뉴스로는:

  1. Matrix.org의 새로운 인증 시스템 마이그레이션
  2. Mozilla의 Thundermail 이메일 서비스 출시 계획
  3. Google의 Gemini 로보틱스 모델 개발
  4. 디지털 보존가들의 공공 데이터 보호 활동
  5. Pico.sh의 개발자를 위한 SSH 기반 서비스

 

조회수 높은 뉴스로는:

  1. Hacker News 새 모더레이터 발표 (1,689포인트)
  2. 세상이 색을 잃어가는 현상에 관한 기사 (298포인트)
  3. 정치를 친구들과 논의하지 않는 이유 (296포인트, 550개 댓글)
  4. 공기 오염의 원인에 관한 데이터 분석 (229포인트)
  5. Automattic 구조조정 발표 (223포인트)

 

각 뉴스에는 원문 링크를 포함하고 간략한 요약을 제공했습니다. 파일은 요청하신 폴더에 "25040315250 HN 뉴스레터.md" 파일명으로 저장되었습니다.

 

클로드는 MCP를 통해 Playwright를 실행하고, 웹사이트의 뉴스 목록을 확인합니다. 이렇게 확인한 뉴스에서 프롬프트에 요청한 중요한 뉴스 5개와 조회수 높은 뉴스 5개를 정리합니다.

 

그리고 기존 폴더에 있는 파일을 읽어서 파일의 구조를 파악해, 여기에 맞는 문서를 작성해 저장합니다. 실제로 저장된 새 파일은 25040315250 HN 뉴스레터.md 라는 이름을 갖습니다. 스크랩을 저장할 폴더인 Scraps에는 모든 파일이 YYMMDDHHMM(파일 생성 시간) [제목].md 형태의 파일명을 가지고 있으니 규칙에 맞게 잘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열어보면, 기존 파일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도 똑같이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 파일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날짜가 지정이 안되었다는 사소한 문제가 있습니다^^;)

 

이제 하루 전의 뉴스도 정리해달라고 요청한 뒤, 클로드의 답변을 살펴보겠습니다.

 

어제 뉴스도 똑같이 파일을 생성해주세요.

 

어제(4월 2일)의 Hacker News 뉴스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어제 날짜의 Hacker News 페이지로 이동하겠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몇 가지 주요 기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제 어제 날짜(4월 2일)의 Hacker News 인기 뉴스 및 중요 뉴스를 선별하여 뉴스레터로 작성하겠습니다.

어제(4월 2일) 날짜의 Hacker News 뉴스레터를 작성했습니다. 파일 명명 규칙에 따라 25040312310 HN 뉴스레터.md로 저장했으며, 이는 2025년 4월 3일 12시 31분 0초에 작성된 문서임을 의미합니다.

 

뉴스레터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었습니다:

 

중요 뉴스 TOP 5

  • Tailscale을 Plan 9에 포팅
  • Stop syncing everything (Graft 스토리지 엔진)
  • TV Garden (글로벌 무료 라이브 TV 스트리밍 서비스)
  • 13 동물을 13개의 원으로 표현하는 디자인 프로젝트
  • Matrix.org의 MAS로의 마이그레이션

 

조회수 높은 뉴스 TOP 5

  • Hacker News에 새 모더레이터 tomhow 공개 발표 (1,692포인트)
  • 세상이 왜 색을 잃어가고 있는가? (299포인트)
  • Mozilla의 Thundermail 이메일 서비스 출시 예정 (373포인트)
  • 정치를 친구들과 논의하지 않는 이유 (301포인트, 562개 댓글)
  • 공기 오염은 어디에서 오는가? (229포인트)

 

각 뉴스 항목은 원문 링크와 함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폴더에 새로운 뉴스가 저장되었습니다.

 

정리

 

이렇게 MCP를 사용해 뉴스를 수집해 정리하는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MCP는 단순히 외부 도구를 호출하는 기능을 넘어서, AI가 주도적으로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도록 돕는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특히 Claude와 함께 사용할 경우, 기존의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수준까지 AI의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MCP는 이제 막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큽니다. 만약 여러분이 AI를 활용해 반복 작업을 줄이거나, 외부 시스템과 자연스럽게 연동되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면, 바로 MCP를 실험해 보길 추천합니다.


위 콘텐츠는 25년 5월 출간 예정인『러닝 랭체인』강민혁 역자가 작성하였습니다.

 

랭체인은 AI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운영, 관리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구글, 데이터브릭스, 바이트댄스 등 다양한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파이썬이나 자바스크립트 기초 지식만 있으면 최신 데이터를 활용하는 RAG부터 AI 에이전트 아키텍처 설계, 서드파티 API 통합, LLM 활용, 배포 및 모니터링까지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전 과정을 직접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러닝 랭체인』은 이러한 랭체인의 핵심 개념부터 실전 적용까지 단계별로 안내하는 도서입니다. 자체 데이터를 활용한 AI 에이전트 구축 방법을 체계적으로 익히고, 최신 AI 기술을 활용한 개발 역량을 키우고 싶다면 『러닝 랭체인』을 기대해 주세요!

 

 

이전 글 : 세상에 나쁜 매니저는 없다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댓글 입력